숙박업 전용으로 상가 전환하는 절차 | 용도변경 인허가부터 숙박업 신고까지

숙박업 상가 전환 절차

상가(근린생활시설)를 숙박업으로 전환하려면 건축법과 공중위생법을 기반으로 용도변경 인허가, 구조 공사, 숙박업 신고 등의 절차를 밟아야 합니다. 본 글에서는 숙박업 전용으로 상가를 전환하기 위한 실질적인 절차와 주의사항을 정리했습니다. 숙박업 용도변경, 건축 인허가, 보건소 신고, 세무신고 등 키워드를 중심으로 체계적으로 설명드립니다.


상가를 숙박업으로 전환하려면 단순 영업신고가 아닌 건축 용도변경 절차와 함께 관할 보건소의 숙박업 신고가 필요합니다. 아래 순서를 참고하여 하나씩 준비하시기 바랍니다.

1. 건축물 용도 확인 및 전환 가능성 검토

  • 건축물대장을 통해 현재 용도가 ‘근린생활시설’인지 확인
  • 관할 지자체(구청 건축과)에 숙박업 용도 변경 가능 여부 사전 확인
  • 일반주거지역, 교육환경보호구역 등은 숙박업 금지 지역일 수 있음

2. 건축사 또는 인허가 전문가 상담

  • 용도변경 시 필요한 구조 기준(방화구획, 채광, 방음 등) 확인
  • 필요시 대수선 허가 병행 – 파티션 설치, 환기창 신설 등 포함
  • 건축도면 작성 및 공사 설계 진행

3. 용도변경 인허가 신청

  • 관할 구청 건축과에 건축물 용도변경 허가 신청
  • 소방서 협의, 교통영향평가 등 지역별 추가 조건 확인
  • 신청 후 인허가 승인까지는 보통 2~4주 소요

4. 숙박업 기준에 맞춘 리모델링 공사

공사 항목 내용
방음·방화 설비 건축법·공중위생관리법 기준 만족
위생 설비 세면대, 환기창, 개별 화장실 등 설치
비상탈출구 소방법 기준 피난계단 확보

5. 숙박업 영업 신고 (관할 보건소)

  • 건축물 용도변경 완료 후 보건소에 숙박업 영업신고
  • 제출서류: 건축물대장, 배치도, 위생교육 수료증 등
  • 필수 기준: 객실 1실당 7㎡ 이상, 환기창, 세면시설 등

6. 세무 신고 및 영업 개시

  • 국세청에 사업자등록 (업종: 숙박업, 과세사업자)
  • 간이과세 여부 검토 (연매출 8000만 원 이하)
  • OTA(에어비앤비, 야놀자 등) 등록 및 마케팅 시작

주의사항: 무허가 숙박업 영업은 1차 적발 시 과태료, 2차 적발 시 형사 처벌 대상이 될 수 있으니 반드시 허가 후 영업을 시작하세요.



숙박업 상가 전환 대표 이미지

👆 이미지 클릭으로 숙박업 전환 정보 더보기